반응형
<미래예측의 특징>
- <불확실성, 복잡계, 카오스, 퍼지, 비선형적, 다차원, 동적 등 갈등해결 /국제관계,
- 현재 시점에서 바라보는 미래는 다양하므로 Futures라고 이야기함
- 미래예측 : 발생가능한 다양한 미래 중 일부를 그려보는 일
- 가능정도 : Possible < Plausible < Probable
- 희망정도 : 긍정, 중립, 부정 : 긍정미래와 부정미래를 제출하여 중간 정도를 취함
미래예측의 2가지 유형 : 목표 분석형 – 영향 분석형
1) 목표분석형(Target analysis) : 예측하고자 하는 대상을 정해놓고 하는 예측작업
예) 대한민국의 미래, 삼성의 미래 등
2) 영향분석형(Effect analysis) : 발생한 이벤트에서 파생되는 영향 예측
예) 코로나 바이러스의 역할
▷ 우리는 미래의 그 다음은 무엇이 있을지를 생각해야 함.
<문제해결 기법과 카오스 이론>
문제해결 기법 : 이유- 복잡하기 때문
Divide & Conquer
- Definition of problem / Decomposition /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pattern, attractor)
- 문제를 쪼개서 결과를 통합하는 것
카오스 이론 : ‘카오스’는 혼돈상태를 나타내는 물리용어
- 겉으로 보기에는 혼돈이지만, 내부에 규칙성 찾고 예측하는 수학
- 나비효과(Lorenz) - 나비효과가 토네이도를 발생시키는 규칙성 : 지구 자전, 대류 → 예측 가능
- 혼돈 속에 규칙성 표현 : 로렌츠 – 규칙성을 attractor 라고 함
- 예) 외계인이 지구에 왔을 때 : “사람들이 왜 저렇게 왔다갔다 하나?” 사람 패턴 반복 관찰하면 규칙성이 이해가 가능함.
- 혼돈 속에 규칙성 표현. 빅데이터 : 문자, 숫자, 정형, 비정형… 카오스 상태로 보임. 규칙을 찾아서 정렬
- 미래는 나선형처럼 반복하며 진화
- 이 게시물은 KAIST 미래전략대학원 수업에서 필기한 내용을 정리하여 올립니다.
2023.10.09 - [미래학 (Futures Studies)] - 미래학개론 3) 미래변화 요소 (STEPPER)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래학개론 4) 미래변화 요소 (0) | 2023.10.09 |
---|---|
미래학개론 3) 미래변화 요소 (STEPPER) (1) | 2023.10.09 |
미래학개론 1) 왜 지금 미래학이 필요한가? (0) | 2023.10.09 |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의 수업들 (1) | 2023.10.08 |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에 간 이유 (1) | 2023.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