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학은 핵심동인을 살피고 모델링해서 살펴본다. 핵심동인을 찾는 가이드라인으로 STEPPER(스테퍼)를 제안한 바 있다.
<미래변화 7대요소 - STEPPER>
S : Society /T : Technology /E : Environment /P : Population/P : Politics/E : Economics/R : Resource
- 제안자: 이광형, 임춘택
- 예) A라는 회사의 10년 후 미래를 보고 싶다. STEPPER 로 보면 잘 보임.
STEPPER의 활용
· 핵심동인 : 주어진 문제의 변화를 유발하는 Driving force를 찾을 수 잇음
· 미래예측 : 7대 요소에 비추어 보며 예측 (프리즘 사례)
<미래변화의 원리 : 인간과 기술>
문) STEPPER의 요소들을 컨트롤할 수 있는가?
· 쉽게 바꿀 수 없는 것 : SERP
· 바꿀 수 있는 것 : 정치, 경제, 기술- PET (기술이 가장 쉬움)
미래변화의 원리 : 인간과 기술
· 미래학의 기본 : 인간 이해 + 기술 이해
· 인간 : 모든 결정은 인간이 함(인본주의 사회)
· 인간 = 뇌(DNA+뇌세포) -뇌세포회로 / 역사, 철학, 뇌과학
· 기술 - 과학 + 자본
인간 : 이성, 감성, 욕망 -> 인간성 /// 사상 + 제도
기술 : 기계, 전자, 생명 -> 효율성 /// 과학 + 자본
→ 의사결정 : 인간성과 효율성의 절충점 > 데이터3법 사례
인간 vs 기술 상호작용
· 인간성(제도) : 국내이슈
· 효율성(기술) : 글로벌 이슈
즉, 국제경쟁은 제도를 글로벌 이슈로 / 효율성이 인간성을 압도하는 압력→ 인간성과 효율성의 균형과 조화가 중요함.
- 이 게시물은 KAIST 미래전략대학원 수업에서 필기한 내용을 정리하여 올립니다.
2023.10.09 - [분류 전체보기] - 미래학개론 4) 미래변화 요소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래학개론 6) 미래예측 방법 (1) | 2023.10.09 |
---|---|
미래학개론 4) 미래변화 요소 (0) | 2023.10.09 |
미래학개론 2) 미래연구의 특징 (0) | 2023.10.09 |
미래학개론 1) 왜 지금 미래학이 필요한가? (0) | 2023.10.09 |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의 수업들 (1) | 2023.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