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한국의 6대 절대과제(Big Problem)
· 고령화 사회 저출산 / 사회통합 갈등해결 /국제관계, 남북문제, 중국부상
· 신성장동력 과학기술혁신 / 지속가능 민주복지국가 / 에너지, 환경
인구 구조 : 미래관리의 필요성 - 인구연령분포
· 인구대체수준(Population replacement level) : 가임여성 1인당 1명 미만 출산
미래학의 사례들
북극항로 : 미래학 = 미래예측 → 희망미래 → 미래전략
에너지문제 : 세계 유가 – 셰일가스 / 가스하이드레이트(독도에 매장)
미래관리 필요성 : 관리하지 않는 것은 예측불허, 불확실, 불안
Futures Studies
· 미래 : 많은 변수들이 시간 변화에 따라 순서대로 상호작용하며 만들어내는 현상
· 미래학 : 미래에 일어날 일을 시간 축 위에서 연구하는 융합학문
· 과거와 기존 경험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미래를 예측, 창의성으로 미래를 상상
미래예측
· 미래학은 발생 가능한 복수의 미래를 그려보며 복수의 미래 중에서 원하는 미래를 만드는 전략 수립 / 원하지 않는 미래를 회피
· 미래예측의 핵심 : 데이터 + 상상력
미래는 예측할 수 있는가?
· 미래는 복잡계(Complex system) / 정확한 미래 예측은 불가능
· 미래 변화의 핵심동인(driving force) 추출 중요
· 예측되는 미래는 복수의 이미지(multiple images)
※ 미래예측의 3요소 : 예측기술, 데이터, 방법론 - 요리에 비유 (요리사, 재료, 주방기구)
미래학의 5대 특징
· 미래학은 복수의 미래를 본다.
· 노력으로 희망하는 미래를 만들수 있음
· 사물을 미래의 시점에서 본다.
· 핵심동인 추출이 관건이다.
· 미래 대응력을 높여준다.
- 이 게시물은 KAIST 미래전략대학원 수업에서 필기한 내용을 정리하여 올립니다.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래학개론 3) 미래변화 요소 (STEPPER) (1) | 2023.10.09 |
---|---|
미래학개론 2) 미래연구의 특징 (0) | 2023.10.09 |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의 수업들 (1) | 2023.10.08 |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에 간 이유 (1) | 2023.10.08 |
미래학의 다양한 표현 Forecast, Foresight, Futures Studies의 차이 (3) | 2022.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