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학사전

"옷깃만 스쳐도 인연" - 유래, 뜻, 영어로는? 일본과 중국의 유사표현

by 미래진행형 2024. 8. 27.
반응형

"옷깃만 스쳐도 인연"이라는 말을 종종 쓰곤 합니다. "옷깃만 스쳐도 인연"이라는 속담은 사소한 만남도 전생의 깊은 인연에서 비롯되었다는 뜻입니다. 이 말은 불교의 '타생지연(他生之緣)'에서 유래한 것으로, '다른 생애에서 비롯된 인연'을 뜻합니다. 옷깃만 스쳐도 인연이라는 말의 해석과 영어, 일본어, 중국어의 유사한 표현을 알아보겠습니다.
 

 

1. 옷깃을 스치려면 꽤 깊은 스킨십이 있어야 한다?

스브스뉴스에서 한복의 '깃'은 목 부분이므로 깃이 스치려면 최소 포옹이 있어야 한다고 하는데요. 사실 이 부분에 대해서 저는 견해를 달리합니다.

출처 : 스브스뉴스

 
'깃'을 엄밀하게 저 부분으로 해석하지 않고, 소매, 옷자락까지 전부 보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동양권 전통 복식에서는 옷자락이 넓은 옷들을 입었습니다. 도포가 그렇고, 기모노도 그렇습니다.
 
"옷자락만 스쳐도 인연"에서 "옷깃만 스쳐도 인연"으로 축약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아니면, 옷깃이라는 표현이 옷자락과 소매까지 전부 포괄하든지요. 
 

도포-출처:나무위키

 

기모노-출처 : 나무위키

2. 외국의 유사한 표현

이 속담과 유사한 개념을 가진 표현들은 다른 문화권에서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영어권 표현

영어권에서는 직접적으로 일치하는 속담은 없지만, 비슷한 개념을 표현하는 말들이 있습니다:

  • "Every person you meet is for a reason, a season, or a lifetime."
    (당신이 만나는 모든 사람은 이유가 있거나, 한 시즌을 위해서거나, 평생을 위해서입니다.)
  • "There are no chance encounters."
    (우연한 만남은 없습니다.)

일본어 표현

일본에서는 한국의 표현과 매우 유사한 말이 있습니다

  • "袖振り合うも他生の縁" (そでふりあうもたしょうのえん, Sode furi au mo tashou no en)
    (소매가 스치는 것도 전생의 인연)

이 표현은 한국의 "옷깃만 스쳐도 인연"과 거의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중국어 표현

중국에도 유사한 표현이 있습니다

  •  擦肩而过亦有缘 (cā jiān ér guò yì yǒu yuán) - (어깨를 스치는 것도 인연이다)
  • "百年修得同船渡,千年修得共枕眠" (Bǎi nián xiū dé tóng chuán dù, qiān nián xiū dé gòng zhěn mián) - (백 년의 수행으로 같은 배를 타고, 천 년의 수행으로 같은 베개를 베다)

이 표현은 인연의 깊이와 중요성을 강조하며, 만남의 우연성 뒤에 숨겨진 의미를 나타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