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파, 비둘기파, 올빼미파, 오리파 등의 용어는 주로 경제 정책, 특히 통화 정책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표현들입니다. 이 용어들의 유래와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1. 유래와 역사
최초 사용
미국의 3대 대통령인 토마스 제퍼슨이 처음으로 사용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According to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the term “war hawk,” to mean “one who is eager for the fray,” first appeared in a letter Thomas Jefferson wrote to James Madison in 1798, to describe Federalists who wanted to go to war with France.
옥스포드 영어 사전에 따르면, "전쟁을 열망하는 사람"을 의미하는 "war hawk"라는 용어는 1798년 토마스 제퍼슨이 프랑스와 전쟁을 하기를 원하는 연방주의자들을 묘사하기 위해 제임스 매디슨에게 쓴 편지에 처음 등장했습니다
초기 의미:
- 매파: 전쟁 확대를 주장한 세력을 공격적인 매에 빗대어 표현
- 비둘기파: 전쟁을 중단하고 평화롭게 해결하고자 한 세력을 평화의 상징인 비둘기에 빗대어 표현
매파와 베트남 전쟁
1. 전쟁 확대 주장 : 매파는 베트남 전쟁에서 미국의 군사적 개입을 확대하고 북베트남에 대한 공격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2. 공산주의 확산 저지: 매파들은 베트남에서 공산주의가 확산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고 믿었으며, 이를 위해 강력한 군사 행동이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3. 정치적 영향력: 매파적 성향의 정치인들은 전쟁 확대를 지지하며 정부 정책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4. 주요 인물: 린든 B. 존슨 대통령, 로버트 맥나마라 국방장관(초기) 등이 매파적 성향을 보였습니다.
5. 결과: 매파의 영향으로 미국은 베트남 전쟁에 더 깊이 개입하게 되었고, 이는 결과적으로 전쟁의 장기화와 미국 내 반전 여론 증가로 이어졌습니다.
용어의 확장
- 이후 매파라는 용어는 정치, 외교 분야를 넘어 경제 분야에서도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 현대에는 주로 경제 정책, 특히 통화 정책과 관련하여 긴축적이고 인플레이션 억제를 중시하는 입장을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베트남 전쟁 시기의 매파 개념은 현대의 경제적 맥락에서 사용되는 매파 개념의 기원이 되었습니다. 두 경우 모두 보다 강경하고 공격적인 접근을 선호한다는 점에서 유사성을 가집니다.
기타
치킨 매파 ( Chicken hawk )
전쟁을 경험하지도 않았고, 군에 복무한 적도 없으면서 전쟁 혹은 그에 준하는 급진적인 군사활동을 적극 찬성하는 호전적인 정치인, 관료, 평론가 등을 뜻하는 정치적 속어다. 주로 미국에서 쓰인다. - 출처 : 나무위키
2. 현대적 의미 (금융)
매파
- 경기 전망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화폐가치와 물가안정을 목표로 합니다.
- 금리인상과 통화긴축 정책을 선호합니다.
- 보수적이고 강경한 입장을 취합니다.
비둘기파
- 경기 전망을 보수적으로 평가합니다.
- 금리인하와 양적완화 정책을 선호하며 경제성장을 목표로 합니다.
- 경기둔화위험을 우선적으로 경계하며, 경기부양유도를 목표로 합니다.
올빼미파
- 매파와 비둘기파의 중간으로 중립적인 성향을 보입니다.
- 상황을 지켜보다가 상황에 따라 금리인상 또는 금리인하, 긴축 또는 양적완화를 주장합니다.
오리파
- 오리가 무리 지어 따라가는 모습처럼 자신의 주관 없이 다수의 의견을 따르는 성향을 의미합니다.
- 레임덕에서 나왔다는 설도 있습니다.
경제 정책에 미치는 영향
이러한 성향의 차이는 실제 경제 정책, 특히 통화 정책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한국의 금융통화위원회에는 총재를 포함하여 7명의 금융통화위원이 금리와 관련된 통화정책을 결정합니다. 이들의 성향에 따라 금리정책이 결정되고 이는 세계 경제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미국의 경우, 연방준비제도(Fed)의 의장은 "세계 경제 대통령"으로 불릴 정도로 금융정책에 관해서는 전 세계적으로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합니다.
이러한 용어들은 특히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결정을 설명할 때 자주 사용되며, 투자자들과 경제 분석가들에게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경제 상황에 따라 정책 입안자들의 입장이 매파적이거나 비둘기파적으로 변할 수 있으며, 이는 경제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잡학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자 저하? 전하? 황제 폐하? 존칭 호칭 순위 정리 (2) | 2024.09.08 |
---|---|
"옷깃만 스쳐도 인연" - 유래, 뜻, 영어로는? 일본과 중국의 유사표현 (1) | 2024.08.27 |
장자 - 상유이말(相濡以沫) 뜻, 더 중요한 不如相忘於江湖(불여상망어강호) (2) | 2024.08.26 |
소천하다(召天) 뜻과 유래 - 나무위키를 믿지 마세요 (0) | 2024.08.26 |
교토국제고등학교 고시엔 우승 - 학교 정보, 출신 야구 선수 (0) | 2024.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