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잡학사전70

'티미하다'의 뜻과 유래, 사용 예시 - TMI, timid 와 관계? '티미하다'의 뜻과 유래 '티미하다'는 주로 강원, 전남 지역의 사투리로 사용되는 표현으로, '어리석고 둔하다'라는 의미입니다. 이는 표준어인 '투미하다'의 방언일 뿐만 아니라, '모자라다'라는 의미도 내포하고 있습니다. '티미하다'는 일반적으로 일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사람을 비하하는 맥락에서 사용되며, '티미한 사람' 또는 '말을 티미하게 한다' 등의 형태로 표현됩니다. 특히 '티미하다'라는 단어는 영어로 'timid'와 혼동될 수 있으나, 두 단어는 전혀 관련성이 없습니다. '티미하다'는 한국어의 순수한 표현이며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사투리입니다. 이 단어는 전북, 강원, 전남 등 여러 지역에서 형태가 다양하게 사용되며(예: '튀미허다', '퇴미하다') 오랜 시간에 걸쳐 자연스럽게 발전해온 것으.. 2024. 8. 16.
북촌에 한옥을 1천채 지은 남자 - 경성의 건축왕 정세권 정세권은 일제 강점기 동안 한국의 부동산 개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로, '건축왕' 또는 '한옥왕'으로 불립니다. 그의 주요 업적과 생애는 다음과 같습니다. 생애초기 생활: 정세권은 1888년 4월 10일 경상남도 고성군 하이면 덕명리에서 태어났습니다. 12세에 진주 백일장에서 장원을 차지하였고, 진주사범학교를 1년 만에 수료했습니다.고향에서의 활동: 1905년 졸업 후 참봉에 제수되었으며, 1910년에는 하이면 면장으로 취임하여 저축계 발족, 방풍림 조성 등 생활 환경 개선에 힘썼습니다. 1912년 면장에서 사임하였습니다.서울에서의 활동: 1919년 경성으로 이주한 후 1920년 건양사를 설립하고 부동산 개발 사업을 시작하였습니다. 이후 1920-30년대에 경성 전역에 걸쳐 한옥 대단지를 조성.. 2024. 8. 15.
한글날의 유래, 왜 10월 9일일까? - 옛날에는 가갸날? 한글날의 유래는 복잡한 역사적 과정을 거쳐 현재의 날짜로 정착되었습니다. 이 날은 한글의 가치와 세종대왕의 업적을 기리기 위한 특별한 날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한글날의 시초: 가갸날한글날의 시작은 '가갸날'로 불렸습니다.1926년, 조선어연구회에서 훈민정음 반포 480주년을 기념하여 처음으로 이 날을 지정했습니다.'가갸'는 한글의 기본 자음으로, 한글 배우기를 시작하는 예로 사용되었습니다.날짜 선정의 과정한글날의 날짜 선정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초기에는 실록의 기록을 바탕으로 1446년 9월을 한글 완성 시기로 환경했습니다.정확한 날짜가 명시되지 않아 9월 그믐날로 가정하고, 이를 양력으로 환산하여 10월 29일로 정했습니다.1940년대에 방종현 선생의 지적으로 1446년 9월의 기록이 한글의 완성이.. 2024. 8. 15.
효율적 시장 가설 (Efficient Market Hypothesis, EMH) - 약형, 준강형, 강형 효율적 시장 가설 (Efficient Market Hypothesis, EMH)효율적 시장 가설(Efficient Market Hypothesis, EMH)은 금융 시장이 정보를 얼마나 잘 반영하는지를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이 가설은 모든 투자자들이 정보를 동등하게 활용하여 주식의 가격이 항상 그 가치를 정확하게 반영한다고 주장합니다. 즉, 시장에서 주식 가격은 모든 공개된 정보를 반영하며, 따라서 주식의 현재 가격은 미래의 가격 변동을 예측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지표라는 것입니다. 효율적 시장 가설(Efficient Market Hypothesis, EMH)은 경제학자 유진 파마(Eugene Fama)에 의해 제시되었습니다. 그는 1960년대에 EMH를 발전시키며, 시장이 모든 이용 가능한 정보를 즉시.. 2024. 8. 14.
도대체, 어차피, 만약, 대관절... 심지어 "심지어"까지 한자어라고? 우리 말의 상당수는 한자어입니다. 그런데, 한자어가 아닌 것처럼 보이는 단어들도 한자어인 것을 알고 계셨나요? 도대체 어디까지가 한자어인지, 심지어 심지어(甚至於)도 한자어입니다. 이러한 단어들을 몇개 살펴보겠습니다.   1. 도대체(都大體)  도대체 都大體 1.(부사) 다른 말은 그만두고 요점만 말하자면.2.(부사) 유감스럽게도 전혀.3.(부사) 전혀 알지 못하거나 아주 궁금하여 묻는 것인데-네이버 사전 도대체는 대체(大體)의 강조표현(힘줌말)입니다. 중국어에서 都(떠우, dou)는 모두라는 뜻입니다.  2. 어차피 ( 於此彼) 어차피 於此彼 (부사) 이렇게 하든지 저렇게 하든지. 또는 이렇게 되든지 저렇게 되든지. 어차피는 한자어 어차어피(於此於彼)의 준말입니다. 어차는 이렇게, 어피는 저렇게로 해석.. 2024. 8. 9.
캡차(CAPTCHA)의 뜻? 캡챠 약자, 캡챠의 원리와 유래 Completely Automated Public Turing test to tell Computers and Humans Apart"컴퓨터와 인간을 구분하기 위한 완전 자동화된 공공 튜링 테스트"  1. 캡차(CAPTCHA)의 약자, 뜻캡차(CAPTCHA)는 "Completely Automated Public Turing test to tell Computers and Humans Apart"의 약자로, 우리말로 번역하면 "컴퓨터와 인간을 구분하기 위한 완전 자동화된 공공 튜링 테스트"라는 뜻입니다. 캡챠는 컴퓨터와 인간을 구별하기 위해 설계된 테스트입니다. 주로 웹사이트에서 자동화된 프로그램(봇)의 접근을 차단하고, 사용자 인증을 위해 사용됩니다. 캡차는 사용자가 입력해야 하는 문자, 숫자, 이미지 .. 2024. 8. 8.
[진주냉면] 육수에 달군 쇠, 잡내를 제거하는 과학적 원리 추정 육수에 달군 쇳덩어리를 넣어서 잡냄새를 제거하는 것은 과학적으로 여러 가지 원리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특히 한식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효과가 있다는 경험적인 증거가 많습니다. 하지만 과학적으로 완전히 규명된 것은 아닙니다. 여기에 대한 몇 가지 가능한 설명을 제시하겠습니다. 1. 산화환원 반응달군 쇳덩어리는 높은 온도로 인해 표면이 산화된 상태일 수 있습니다. 이 상태에서 쇳덩어리가 육수에 들어가면, 육수 속의 다양한 화합물들과 산화환원 반응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반응들은 냄새를 유발하는 물질을 변화시켜 냄새를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2. 흡착 효과쇳덩어리는 표면적이 넓고 다공성 구조를 가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표면은 냄새를 유발하는 분자들을 흡착할 수 있습니다... 2024. 8. 8.
@ =골뱅이? & 읽는 법, 특수문자 목록과 읽는 법 1. @ (앳)읽는 법: 앳의미: 이 기호는 이메일 주소에서 사용자 이름과 도메인을 구분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user@example.com"이라는 이메일 주소에서 "user"와 "example.com"을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기호는 소셜 미디어에서도 사용자 계정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곤 합니다.2. . (닷)읽는 법: 닷의미: 주로 도메인 이름에서 사용되며, 여러 부분을 구분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예를 들어, "www.example.com"에서 "www"와 "example", "com"을 구분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파일 확장자에서도 사용되어 "document.pdf"와 같은 형태로 파일의 종류를 나타냅니다.3. _ (언더바)읽는 법: 언더바의미: 공백 대신 사용되는 기호로, 변수명.. 2024. 8.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