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학사전

'티미하다'의 뜻과 유래, 사용 예시 - TMI, timid 와 관계?

by 미래진행형 2024. 8. 16.
반응형

'티미하다'의 뜻과 유래

 

'티미하다'는 주로 강원, 전남 지역의 사투리로 사용되는 표현으로, '어리석고 둔하다'라는 의미입니다.

네이버 국어사전

 

이는 표준어인 '투미하다'의 방언일 뿐만 아니라, '모자라다'라는 의미도 내포하고 있습니다. '티미하다'는 일반적으로 일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사람을 비하하는 맥락에서 사용되며, '티미한 사람' 또는 '말을 티미하게 한다' 등의 형태로 표현됩니다.

 

표준어는 투미하다



특히 '티미하다'라는 단어는 영어로 'timid'와 혼동될 수 있으나, 두 단어는 전혀 관련성이 없습니다. '티미하다'는 한국어의 순수한 표현이며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사투리입니다.

timid 와는 무관

 

TMI같지만, TMI와도 무관



이 단어는 전북, 강원, 전남 등 여러 지역에서 형태가 다양하게 사용되며(예: '튀미허다', '퇴미하다') 오랜 시간에 걸쳐 자연스럽게 발전해온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특정한 시기나 최초 사용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티미하다'의 사용 예시

 

'티미하다'를 사용할 때는 주로 부정적인 의미로서 사람이나 그들의 행동을 묘사하는 문맥에서 나타납니다. 다음은 몇 가지 예문입니다:

"일을 티미하게 한다": 이 표현은 누군가가 일을 제대로 수행하지 않거나 능숙하지 못할 때 사용됩니다.
"그 사람은 좀 티미하다": 특정 인물이 둔하거나 어리석은 행동을 보일 때 이 표현을 사용합니다.
"말을 티미하게 한다": 누군가의 말하는 방식이 명확하지 않거나 둔한 경우에 쓰입니다.
"티미한 사람": 전반적으로 능력이 부족하거나 행동이 둔한 사람을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일처리가 티미하다": 누군가의 일 처리 방식이 비효율적이거나 깔끔하지 않을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티미하다'라는 표현은 경상도 지역의 사투리로,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뉘앙스를 띄고 있습니다. 공식적인 자리나 처음 만나는 사람과의 대화에서는 사용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결론

 

결론적으로, '티미하다'는 사투리로서 특정 상황에서 어리석거나 둔하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이 단어는 영어의 'timid'와는 관련이 없으며, 순수 한국어 표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