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을 이긴 16인의 승부사에게 배우는 진입과 청산 전략:알렉산더 엘더의 주식 선물 옵션 투자
COUPANG
www.coupang.com
금융권에서 매수를 롱이라고 하고, 공매도를 숏이라고 한다.
롱 포지션, 숏 포지션, 롱 잡았다. short sale 등으로 쓴다.
길고 짧은 것이 어떻게 매수/매도가 되었는지 궁금해졌다.
롱(long)을 길다로 보아, 매수는 길게 해야하기 때문에 그렇다고 하기도 하고 매도는 급락이 오기 때문에 기간이 짧다고 해석하는 의견도 있지만 정확하진 않은 것 같다. 급등도 있고, 급락도 있는 법이니까.
또 숏(short)을 in short of 의 용례처럼, 무엇이 '없다'에서 유래했다고 하기도 한다. 그러면 long은 뭔가?
둘 다 long-short이 엄밀하게 대응되는 해석이 아니다.
구글에 "long short origin" 이라고 검색을 해보았더니 내가 납득할만한 답이 나왔다.
예전 영국에서 Tally Stick 이라는 것을 사용했다고 한다.
en.wikipedia.org/wiki/Tally_stick
이는 돈을 빌려주고, 받기 위해 적어두는 장부로 사용되는 막대기이다.
![]() |
![]() |
뭐 이런식으로 생겼다.
나중에 서로 대보았을때 나뭇결의 일치 여부로 원본임을 확인한다.
여기서 "길고 짧은 것은 대봐야 안다"가 나오진 않았겠지.
이 Tally Stick을 반으로 나누어 가지는데 두개의 길이를 다르게 나눈다.
돈을 빌려준 사람이 긴쪽을 가지고, 돈을 빌린 사람이 짧은 쪽을 가진다.
긴 쪽이 차용증인 셈이다. 긴 쪽을 Stock 이라고 부르고, 짧은 쪽은 foil 이라고 불렀다.
Stock은 여기서 주식(stock)으로 이어진 것이 아닐까 한다.
즉, 빌리는 것이 short / stock을 매수하는 것이 long 으로 이어졌다.
롱은 흔히 잡는다고 표현하고, 숏은 친다고 표현한다.
롱이 상승하는 동아줄을 잡는 느낌이라면, 숏은 망치로 내려치는 느낌이라 그런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본다.
P.S : 선물옵션 하지 마세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잡학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 이미지 저작권 해결(1) - AI 이미지 생성으로 해결 (1) | 2023.10.15 |
---|---|
국제 유가가 오르면 삶에는 어떤 영향이 있을까? (0) | 2023.10.10 |
Bing AI 채팅 횟수 제한 늘리기 (간단 팁) (0) | 2023.09.26 |
음수를 삼각형으로 표시하는 건 우리나라만일까? (엑셀 셀서식 추가) (0) | 2023.09.26 |
1주택자는 종부세를 얼마나 내는가? (0) | 2021.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