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학사전

차경 - 풍경을 빌리다. 차경, 누경, 장경, 억경 등 설계 기법

by 미래진행형 2024. 8. 21.
반응형

한국의 전통 건축 및 정원 조성은 단순한 식물 배치나 경관 조성을 넘어선 깊은 철학과 예술성을 담고 있습니다. 이는 자연과 인간의 조화로운 공존, 시간의 흐름에 대한 인식, 그리고 공간의 확장과 축소를 통한 미적 경험의 극대화를 추구합니다. 이러한 정원 문화의 핵심에는 차경(借景), 누경(樓景), 장경(障景), 억경(抑景) 등 다양한 설계 기법들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1. 차경(借景): 빌려온 풍경의 예술

차경은 '경치를 빌린다'는 뜻으로, 원림 외부의 경물을 시야로 끌어들여 전체 경관의 일부로 삼는 정원 설계 기법입니다. 이는 인위적인 정원 조성을 최소화하고, 대신 주변의 자연 경관을 정원의 배경으로 활용하는 방식입니다.

 

차경

차경의 다양한 형태

  1. 원차(遠借): 멀리 있는 경물, 예를 들어 먼 산이나 강을 정원의 일부로 끌어들입니다.
  2. 인차(隣借): 인접한 경관, 예를 들어 이웃집의 아름다운 나무를 활용합니다.
  3. 앙차(仰借)․부차(俯借): 하늘이나 구름, 또는 아래쪽의 계곡이나 물 등을 올려다보거나 내려다보는 시각적 미감을 제공합니다.
  4. 응시이차(應時而借):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경관을 담아냅니다. 예를 들어, 하루 동안 아침 햇살부터 저녁 노을, 밤하늘의 달빛까지, 또는 봄, 여름, 가을, 겨울의 변화를 감상할 수 있게 합니다.

차경의 핵심은 '프레임'입니다. 창문, 문, 나무 사이의 틈 등을 통해 외부 경관을 '액자' 안에 담아내듯 연출합니다.

 

이를 통해 평범한 풍경도 특별한 예술 작품으로 탈바꿈합니다.

 

차경

2. 누경(樓景): 높은 곳에서 바라보는 풍경

누경은 '누(樓)'라 불리는 높은 건물에서 경치를 감상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누각은 자연을 바라보는 창(窓)이자, 시와 예술의 영감을 얻는 공간입니다. 누경의 매력은 사계절의 변화를 온전히 느낄 수 있다는 점입니다.

3. 장경(障景): 시선의 조절과 유도

장경은 지형, 식재, 건물을 이용해 경관의 시선을 조절하는 방법입니다.

  • 허장(虛障): 투과성 소재로 막은 듯 하면서 막지 않은 침투적 관계를 만듭니다.
  • 실장(實障): 칸막이로 둘러싸고 약간의 빈틈을 두어 한 쪽으로 유도하는 방법입니다.

이 기법은 유람자에게 원림공간의 심원함을 예측하지 못하게 하고 흥미를 유지시킵니다.

4. 억경(抑景): 감추었다가 드러내는 극적 효과

억경은 경관을 감추었다가 갑자기 드러내는 극적인 효과를 창출하는 기법입니다. 이는 유람자에게 예측불가능한 흥미와 놀라움을 선사합니다. "만약 드러내되 감추지 않으면 천박한 것이다"라는 말처럼, 억경은 정원의 깊이와 품격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5. 협경(狹景): 시선의 집중과 공간의 깊이

협경은 광활한 원경에 근경을 배치하여 시선이 자연스럽게 흐르게 하는 수법입니다. 이를 통해 넓은 공간에 초점과 깊이를 더합니다.

6. 대경(對景): 경물 간의 호응 관계

대경은 경물을 서로 호응 관계를 갖도록 배치하여 시각적 연결을 만드는 기법입니다. 이는 정적인 구도와 동적인 변화를 모두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7. 첨경(添景): 근경을 통한 공간 깊이 연출

첨경은 근경에 시야를 한정하는 경물을 배치하여 공간의 깊이를 느끼게 합니다. 예를 들어, 관람자의 시야에 버드나무 가지를 드리워 그 사이로 멀리 보이는 경관을 감상하게 하는 방식입니다.

8. 광경(框景): 틀을 통한 풍경 감상

광경은 문틀, 창틀 등의 틀을 통해 자연풍경을 그림처럼 감상하게 합니다. 이는 차경의 개념을 더욱 구체화한 기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9. 누경(漏景): 틈새로 보는 풍경

누경은 광경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간 기법입니다. 창문의 창살에 다양한 문양을 넣어 만든 '누창'을 통해 경관을 감상하게 합니다. 누창에는 기하학적 도안부터 포도, 석류, 대나무 등의 식물, 사슴, 학 등의 동물까지 다양한 소재가 사용됩니다.

의의

이러한 전통적 정원 설계 기법들은 현대 건축과 조경에서도 활발히 활용되고 있습니다. 

한국 전통 정원의 설계 기법들은 자연과 인간, 시간과 공간의 관계에 대한 깊은 철학을 담고 있습니다.

 

자연을 정복의 대상이 아닌 공존의 대상으로 바라보는 동양적 세계관을 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