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

[당시/송사] 1. 독좌경정산(独坐敬亭山) - 이백 (해석 + 병음+필사)

by 미래진행형 2024. 11. 11.
반응형

필사라기보다는 대고 그리기이지만 하루 하나씩 해보려 합니다.

이백의  독좌경정산(独坐敬亭山)은 오언절구(五言絶句) 형식으로, 다섯 글자씩 네 구절로 이루어진 당나라의 대표적 시 형식입니다. 오언절구는 짧은 구조임에도 강한 감정과 깊은 뜻을 담아내는 것이 특징입니다.

 

필사1. 독좌경정산



원문

独坐敬亭山

 

众鸟高飞尽,

孤云独去闲。

相看两不厌,

只有敬亭山。


해석

경정산에 홀로 앉아


새들은 모두 높이 날아가 사라지고,
외로운 구름 하나 한가롭게 흘러가네.
서로 바라보며 싫증 내지 않으니,
나와 함께 있는 건 오직 경정산뿐.

병음과 독음

独坐敬亭山
Dú zuò Jìngtíng Shān
독 좌 경 정 산

众鸟高飞尽,
Zhòng niǎo gāo fēi jìn,
중 조 고 비 진

孤云独去闲。
Gū yún dú qù xián.
고 운 독 거 한

相看两不厌,
Xiāng kàn liǎng bù yàn,
상 간 량 불 염

只有敬亭山。
Zhǐ yǒu Jìngtíng Shān.
지 유 경 정 산

안후이성 경정산 -출처 : 바이두

어휘

1. 独 (Dú): ‘홀로’, 이백이 혼자 있는 상태를 강조.
2. 敬亭山 (Jìngtíng Shān): 중국 안후이성(安徽省)에 있는 산
3. 众鸟 (Zhòng niǎo): ‘여러 새’
4. 高飞尽 (gāo fēi jìn): ‘높이 날아가 모두 사라지다’
5. 孤云 (Gū yún): ‘외로운 구름’
6. 相看 (Xiāng kàn): ‘서로 바라보다’
7. 不厌 (Bù yàn): ‘싫증 내지 않다’
8. 只有 (Zhǐ yǒu): ‘오직’

운율 분석

평측조(平仄調)에 맞추어 구성되어 있으며, 마지막 글자가 압운을 이루어 음악적 리듬감을 줍니다.

각 구절의 마지막 글자는 '진(尽)', '한(闲)', '염(厌)', '산(山)'으로 모두 음이 비슷해 일정한 운율을 형성합니다.

이 시에서 압운은 산문적이고 고요한 느낌을 주기 위해 마지막 글자를 반복적으로 '산'과 같은 소리로 맞춘 것입니다.

이를 통해 한가롭게 흘러가는 자연의 정취를 음악적으로 담아냅니다.

평측(平仄) 구조

첫 구절 (独坐敬亭山): 평평평평평 (평)
둘째 구절 (众鸟高飞尽): 평측평평측 (측)
셋째 구절 (孤云独去闲): 평평측平平 (평)
넷째 구절 (相看两不厌): 平平평平측 (측)

이 시는 평과 측을 균형 있게 배치하여 조화로운 리듬을 만들어냅니다. 특히, 각 구절의 세 번째와 다섯 번째 글자는 주로 평과 측이 교차하여 시적 리듬과 긴장감을 조성하는 효과를 발휘합니다.


오언절구의 네 구절은 각각의 구가 다른 역할을 하여 구조적 의미를 형성합니다.

1. 기(起) - 첫 구절은 상황을 제시하며, 이백이 경정산에 혼자 앉아 있는 정경을 드러냅니다.
2. 승(承) - 두 번째 구절은 상황을 발전시키며, 새들이 모두 날아가고 사라진 모습을 묘사하여 고요한 분위기를 강화합니다.
3. 전(转) - 세 번째 구절에서 전환이 이루어지며, 구름이 유유히 흘러가는 한가로운 모습을 묘사합니다.
4. 결(结) - 마지막 구절은 시의 결론으로, 경정산과 이백이 서로를 바라보며 영원히 싫증 내지 않는 관계를 나타냅니다.

해설

此诗表面写诗人独游敬亭 山的情趣,
实则表达了诗人生命历程中旷世的孤独感。

이 시는 겉으로는 시인이 홀로 경정산을 유람하는 정취를 썼지만,

실제로는 시인의 생명 역정 중 광세(의역 : 가장 높은)의 고독감을 표현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