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워치 산소 포화도가 갑자기 93%가 나왔습니다. 기존에는 98% 정도였는데 말이죠. 찾아보니 95% 이상이 정상이라고 하는데, 93%는 어떤 문제가 있어서 그런지 검색해봤습니다. 그리고, 산소 포화도가 뭔지도 모르고 있었다는 사실을 문득 깨닫고, 산소포화도의 의미, 그리고 측정 원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1. 산소포화도 뜻
산소포화도(SpO2)는 혈액 속 헤모글로빈이 산소와 결합한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 산소포화도 : 헤모글로빈과 산소 분자의 결합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
- 산소화된 헤모글로빈의 양과 총 헤모글로빈 양의 비율
- 혈액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산소를 운반하고 있는지 보여주는 지표
- 약자 : SpO2는 'Saturation of peripheral oxygen'의 약자로, 말초 혈액의 산소 포화도를 의미
- 헤모글로빈 : 적혈구 내 단백질로, 산소를 체내로 운반하는 역할
- 정상적인 SpO2 수치 : 95-100% 사이
- 맥박 산소측정기(pulse oximeter)를 통해 비침습적으로 측정 가능
- 94% 미만으로 떨어지면 저산소증을 의심해볼 수 있는 경고 신호
헤모글로빈
Hemoglobin 또는 영국식 표기법으로: Haemoglobin
- 추가 정보: 약어: Hb 또는 Hgb로 표기
- 발음: /ˈhiːməˌɡloʊbɪn/ (히모글로빈)
- 어원: 'Hemo-' (혈액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접두사) '-globin' (구형 단백질을 의미하는 접미사)
- 과학적 표기: 학술 논문이나 의학 문헌에서는 주로 'Hemoglobin'을 사용.
- 관련 용어: Oxyhemoglobin: 산소와 결합한 헤모글로빈 / Deoxyhemoglobin: 산소와 결합하지 않은 헤모글로빈
2. 스마트워치 산소포화도 측정 원리
스마트워치는 PPG(Photoplethysmography) 기술을 사용하여 산소포화도를 측정합니다
- LED에서 빛을 방출합니다.
- 방출된 빛이 체내 조직에 흡수된 후 반사됩니다.
- 반사된 빛을 광전지가 감지합니다.
- 2개 이상의 다른 파장의 빛(주로 녹색광, 적색광, 적외선)을 사용합니다[3].
- 반사된 빛의 양을 분석하여 산소헤모글로빈과 디옥시헤모글로빈의 비율을 추정합니다.
- 이 비율을 바탕으로 SpO2 값을 계산합니다.
3. PPG(Photoplethysmography) : 광용적맥파(光容積脈波) 란?
어원 : photo + plethysmo + graphy
- 광(光): '빛' / 영어의 'Photo-'
- 용적(容積): '용량' 또는 '부피' / 영어의 'plethysmo-'(채우다, 증가하다)
- 맥파(脈波): '맥박의 파동' / 영어의 '-graphy'(기록, 측정)
PPG는 피부에 빛을 쏘아 반사되는 빛의 양을 분석하여 혈류량의 변화를 측정
혈관 내 혈액량의 변화에 따라 흡수되는 빛의 양이 달라지는 원리를 이용
측정 방식 센서에서 피부로 빛(주로 적색광과 적외선)을 발사
혈류량에 따라 흡수되는 빛의 양이 변화
반사되거나 투과된 빛을 감지하여 분석
주요 용도 : 심박수 측정 / 혈중 산소포화도(SpO2) 측정 / 혈관 상태 및 순환계 건강 평가
가. 장점
- 비침습적: 피부를 통해 외부에서 측정하므로 안전하고 편리
- 실시간 모니터링: 지속적인 측정 가능
- 휴대성: 스마트워치 등 소형 기기에 탑재 가능
나. 한계점
- 움직임에 의한 노이즈 발생 가능
- 의료용 기기에 비해 낮은 정확도
4. 산소포화도 93%, 의심되는 병들
산소포화도가 93%로 측정되었다면 주의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합니다
- 95% 이상이 정상 범위.
- 95% 이하는 저산소증 주의 상태
- 90% 이하는 심각한 저산소증으로, 호흡 곤란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한 상태
93%의 산소포화도에서 의심해볼 수 있는 질환들:
- 초기 단계의 호흡기 질환
-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 천식
- 폐렴
- 심장 질환
COPD(만성 폐쇄성 폐질환) : 기도가 좁아져 호흡에 어려움을 겪는 만성 폐질환
정의와 특징
COPD는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의 약자
만성적으로 기류의 상태가 불량한 폐쇄성 폐질환의 한 종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태가 점진적으로 악화되는 경향
주요 증상 : 호흡곤란 / 가래가 섞인 기침숨이 차는 증상
원인과 위험 요인
흡연: COPD의 가장 주요한 위험 요인, 대기 오염, 유전적 요인, 직업적 노출 (화학물질, 먼지 등), 어린 시절의 호흡기 질환
진단방법
폐기능 검사, 흉부 X선 검사나 CT, 동맥혈 가스 분석을 통해 산소와 이산화탄소 분압을 측정
치료
금연: COPD 치료의 가장 중요한 첫 단계입니다
약물 치료: 기관지 확장제, 스테로이드 흡입제 등
호흡기 재활산소 요법 : 심각한 경우 폐 이식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COPD는 완치가 어려운 질환이므로, 조기 진단과 적절한 관리가 중요
산소 포화도가 낮게 나왔다면, 금연이 1번 우선순위네요. 담배를 끊어야 할 때가 다가오는 거 같습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혈압계의 원리, 시장 규모 및 브랜드별 시장 점유율 (1) | 2024.08.28 |
---|---|
혈압약 원리가 뭘까? - 명문제약 암로디핀 정(암로디핀베실산염) (1) | 2024.08.28 |
샤오미 레드미워치4, 하루에 배터리 5% 닳는 미친 스마트 와치 (11) | 2024.08.28 |
세계 최초 폐암 백신 임상시험 시작 - BNT116 (0) | 2024.08.26 |